상단영역

본문영역

군수의 길, 군의원보다 더 근접한 도의원

호남에서 도의원 하려면 민주당 공천장

  • 김형진 기자 94332564@hanmail.net
  • 입력 2021.05.21 08:39
  • 수정 2021.05.21 08:40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브라이스가 그의 주저인 “근대민주주의론”에서 “지방자치를 실시하는 것이 민주주의의 가장 좋은 학교이며 그 성공을 위한 가장 확실한 보증”이라고 설파했다. 


주민들은 지방자치를 통하여 민주주의를 배울 뿐 아니라, 민주주의의 이념을 그들의 작은 생활공동체 속에서 직접 실천으로 옮긴다. 그런 점에서 지방자치를 하는 목적은 주민들의 공공심을 키워주고 민주의식과 자치정신을 함양시켜 성숙한 민주시민으로 성장시켜 지역사회를 함께 가꾸어가는 일이다. 선거 때 보면, 대개 행정가 출신들은 "행정의 달인"을 운운하는 표어를 쓰고 있는데, 그것은 하나의 수단일 뿐 목적이 아니다.

 

의회 또한 존재 이유는 주민에게 공공의 힘을 되돌려 주는 일이고 그런 점에서 언론이 아무리 불의와 싸운다고 할지라도 그것이 최종 목적이 될 순 없다. 공공성을 주민에게 돌려 주는 일. 그렇기에 행정과 의회를 견제하고 비판하면서 사회적 약자를 보호함으로써 균형을 맞추게 되는데, 정당의 목적 또한 그것이다.


그렇기에 호남과 영남을 기반으로 한 수권 정당들이 비판을 받아야 하지만, 아직까지도 호남에선 민주당, 영남에선 국민의힘이란 깃발만 쟁취한다면 당선이란 등식이 성립되고 있다.
호남 지역에서 도의원을 하기 가장 쉬운 길 또한 민주당 공천장이다. 군의원의 경우엔 민주당을 달았다할지라도 종종 무소속이란 강적을 만나 낙선의 고배를 마시고 있긴하지만.... 왜? 도의원을 하려고 할까?


일단 도의원은 군의원보다 상대적으로 역할이 주민들에게 와 닿는 게 약하다. 도의원은 도민들의 의사를 대변하는 기관이라서 군의원처럼 직접적으로 군민을 만나 민원들에 대해 군청에 피력해 군민의 고충까지 처리하기란 빈약하다.
더불어 지역구 행사와 경조사까지 챙기다보면 도의원의 역할에 시간적 제약이 뒤따르고 도민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에도 무리가 따른다. 그렇기에 도의원 입장에서는 주민들의 요구에 자유롭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도 자신의 명예나 혹은 이익 추구, 아니면 군민의 풍요, 지역의 미래를 위해 각자의 신념에 따라 도의원에 도전하겠지만, 이들의 꿈은 하나같이 지자체단체장, 바로 군수가 되는 것.


지난 선거에서 도의원 뱃지를 단 이철 도의원과 신의준 도의원 공히 단체장이 꿈인데, 도의원으로 군수에 오른 이들을 보면 인근 지자체인 명현관 해남군수가 도의원 출신이고 최형식 담양군수, 유근기 곡성군수, 박병종 고흥군수, 구충곤 화순군수, 김 성 장흥군수, 전동평 영암군수, 김철주 무안군수, 고길호 신안군수, 주승용 전 여수시장, 김대동·신정훈 전 나주시장, 임호경 전 화순군수, 박희현 전 해남군수, 강종만 전 영광군수, 서삼석 전 무안군수 등은 도의원 출신으로 단체장 진출에 성공한 인사들이다.

그런데 아직까지 완도에선 도의원 출신의 단체장은 탄생시키지 못했지만,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있듯 군수에 오르기 위해선 군의원보다는 도의원이 좀 더 다가갈 수 있다는 인식이 크다. 완도에선 최형석 서정창 송주호 전 도의원 등이 근접했던 인물들로 내년 지방선거에선 어떤 드라마가 쓰여질 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전남도의회 완도군 선거구는 완도읍·노화읍·보길면·소안면 지역을 한 권역으로 하는 1선거구와 금일읍·군외면·신지면·고금면·약산면·청산면·금당면·생일면 지역을 권역으로하는 2선거구로 나뉘는데, 현재 완도군은 각 선거구마다 1명씩 총 2명의 도의원을 선출하고 있다.
도의원의 경우엔 ‘호남=민주당=당선’이란 등식이 성립된 지 오래로 내년 지방선거 또한 민주당 공천을 누가 받느냐다.
지난 지방선거 또한 도의원 완도군 1선거구와 2선거구 모두 호남을 기반으로 한 2명의 민주평화당 후보가 나섰지만, 민주당의 아성을 넘기엔 역부족이었다. 
계속)                                             

저작권자 © 완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