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금호고속 부당요금 보도, 지역은 조용했다

취재 칼럼

  • 박주성 기자 pressmania@naver.com
  • 입력 2016.11.25 13:49
  • 수정 2016.12.01 23:21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호고속 시외버스 부당요금 논란 기사를 쓰게 된 것은 우연한 기회였다. 보길도 예송리 해수욕장을 여름휴가차 다녀간 광주에 사는 분의 제보. 제보 내용도 당초 시외버스요금 그 자체가 아니였다. 대전-광주간 거리가 더 먼데 완도-광주간 요금이 더 비싸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10월 중순 무렵 ‘광주-완도, 광주-대전 구간보다 5400원 비싸’란 제하의 기사를 처음 썼다.

그런데 정작 이때부터 궁금증이 일기 시작했다. 운행거리는 어떻게 측정되는지, 어떤 방식으로 요금을 결정하고, 누가 산정을 하는지... 금호고속과 전남도·완도군청 교통담당에게 문의하기 시작했다.
그러다 금호고속 직원의 이해하기 힘든 답변. 과거 실측자료를 관행적으로 적용한다는 것이었다. 광주를 자주 다니는 기자는 얼핏 생각해도 최근 도로사정이 바뀐데가 3곳이 생각났다. 어? 이거 문제 있는 거 아닌가. 이것이 금호고속 부당요금에 대한 기사의 시작이었다.

사건은 빠르게 진행됐다. 과거 실측자료는 금호고속 본사가 전남도 공문을 통해 사실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해줬다. 그런데 또다른 문제가 불거졌다. 금호고속이 최단거리, 18회 최다횟수 운행노선 에 남창·월송 2곳이 포함된 운행 요금을 적용해 온 것이다. 결국 직접 실측하고 그 자료를 근거로 관할관청인 전남도 교통담당 주무관과 완도군청 교통담당 계장에게 재실측 필요성을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사태가 거기까지 가자 금호고속도 내심 당혹스러운 눈치였다. 본사에서 몇 번 완도를 방문해 해명과 문제점에 대한 얘기를 나눴다. 여러 과정을 거쳐서 금호고속이 기존 진월동 포함 노선을 주요 승객인 완도군민들과 한마디 상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폐지했다. 
깜짝 놀랐다. 아니 어처구니가 없었다고 해야할까? 어떻게 금호고속이란 우리나라 굴지의 운송업체가 이렇게 일을 처리할 수 있는지? 이 문제에 대처하는 우리의 모습을 곰곰이 생각해 봤다. 완도신문을 통해 보도는 나갔지만, 지역은 조용했다.

심지어 아는 지인을 통해 금호고속에서 회유성(?) 작업까지 들어왔다. 문득, 아 이럴 때 정말 할말을 하는 시민단체라도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금호고속 본사에 올라가서 항의방문이라도 시민단체가 한 번 해줬더라면 금호고속이 이렇게 나왔을까? 돈 1천원 이상이라도 됐으면 달랐을까?

요금인하 금액이 작아서였을까. 반문도 해봤다. 그러나 금액의 차이는 아니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부당한 것에 대해서는 크고 작고의 차이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제대로된 회사라면 금호고속도 이번 요금인하 조치를 수용한게 실질적인 부당요금 인정이라고 생각되는데, 분명한 사과가 없는게 아쉽다.

그래도 이번 건을 겪으면서 씁쓸하게 자위해 본다. 변변한 시민단체도 없는 완도에서 지역신문 기자의 사명이란 군민을 위해 취재수첩과 펜을 들고 달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에.
 

저작권자 © 완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