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3HVDC는 완도-제주 상생협력 ‘마중물’

[사설] #3HVDC와 완도-제주의 상생협력 방안

  • 완도신문 wandonews@naver.com
  • 입력 2020.07.31 10:56
  • 수정 2020.08.03 18:22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실 완도-제주간 #3HVDC(제3초고압직류송전망) 건설사업은 초기 한전의 사업목적 호도가 4년 동안 사업을 표류하게 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당시 완도군청 주무부서와 완도군의회는 한전의 일방적인 정보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그들의 논리는 완도-제주간 #3HVDC가 쌍방향으로 추진되기 때문에 완도군의 전력계통 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었다. 정작 완도-제주간 #3HVDC 사업내용이 담긴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제주도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라고 나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나중에 완도군민들은 이같은 사실을 알고 분노했다. 초기 반대대책위원회 출범과 범군민대책위원회까지 오면서 거센 반발이 이어졌다. 군민들이 분노한 것은 어떤 무엇보다 신뢰의 문제였다. 범대위에 참여한 완도군의회 모 의원의 발언처럼 “한전은 걸핏하면 거짓말”이었다. 개발독재식 사업추진의 망령이 한전에 남아 있었던 것도 부정할 수 없고, 당장 면피용으로 산업통상자원부의 사업계획 실시 승인만 받으면 된다는 것이 그들의 행위의 목적 같았다. 

그런데 완도읍 도암리 주민들이 “어차피 국책사업이라 사업이 추진돼 송전철탑이 지나가게 하는 것보다 차라리 변환소를 유치해 거기에 맞는 보상을 받는게 낫다”는데 동의하고 한전에 변환소 유치 동의서를 직접 전달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찬성 측도 5:5로 팽팽할 것으로 판단했으나 정작 유치 동의서는 43세대 중 38세대가 서명했다. 찬반투표로 반대를 선언하고 어디 마을도 수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변환소 폭탄 돌리기’였을 것으로 본 범대위도 도암리의 선택은 당황스러웠을 것이다.

도암리의 선택은 이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다. 범대위를 바라보는 완도 관내 여론은 범대위의 반대 선택과 달리 범대위가 막아낼 방법은 찾는다면 다행, 못찾는다면 차선책, 즉 국책사업 수용과 지역사회를 위한 제대로 된 보상으로 기울어진 측면이 컷다. 다만 여론몰이 마녀사냥으로 매국노를 빗댄 매군노로 몰릴까봐 입조심을 하는 경우가 많았을 뿐.  

이제 #3HVDC 사업은 완도-제주 상생협력의 ‘마중물’로 사용돼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전남도 입장에선 현재 제주도와 최대 현안인 호남-제주 해저고속철도 추진사업이 제주2공항의 경제적 타당성을 좌우할 수요 악영향을 우려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제주도에 의해 주춤한 상태에서 협상테이블로 불러올 계기가 될 것이며, 제주도와 완도 입장에선 상호물류 활성화 차원에서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 완도항을 통한 제주와 상생협력과 물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실현은 무엇보다 완도 관내 지역 기관사회단체의 강한 여론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완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