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감당하기 어려운 수산물 파동 다가온다

전복·광어, 코로나19 직격탄…도매·수출물량 회복 안되면 연관 산업 연쇄 부실로 이어질 듯

  • 박주성 기자 pressmania@naver.com
  • 입력 2020.04.24 13:23
  • 수정 2020.04.24 13:27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양식수산물 중심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수출이 경직되면서 완도수산물 주요품목인 전복과 광어가 출하량이 급감함에 따라 정부 차원의 수산물 양식어가에 대한 지원 대책이 시급히 마련되지 않으면 완도 양식어가 부도가 현실화되고 이것이 연관산업 부실로 이어져 전체적인 수산업 몰락으로 연결될 것이 우려되고 있다. 여름철 전복 홍수 출하기가 다가오고 있어 이미 수산물 파동 조짐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제 시작이란 얘기가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기 전부터 ‘국민 횟감’ 광어는 이미 위기가 닥쳐왔다. 횟감에 대한 사람들의 소비행태 변화로 광어는 2008년만 하더라 국내 횟감 시장 점유율  60%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지만 연어와 등 대체 어류 수입이 증가하면서 예전만 한 인기를 누리지 못하고 있었다. 2018년 광어의 횟감 시장 점유율은 30∼40%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노르웨이산 연어와 일본산 방어 등 경쟁 횟감의 수입은 크게 늘었다. 2008년 2465t이던 연어 수입량은 지난 2018년 2만4058t으로 9.7배, 방어는 246t에서 1574t으로 6.4배 급증했다. 이 때문에 지난 2018년 7월까지 ㎏당 1만2000~1만3000원대였던 양식 광어 값은 지난해부터 8000원대 전후로 떨어졌고, 최근 며칠간은 7500원대까지 급락하기도 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소비 감소와 수출 부진 등은 단가도 하락시켜 광어의 위기를 더욱 부채질하고 있는 형국이다.

코로나19로 인해 가장 심각한 피해를 보고 있는 완도수산물 품목은 전복이다. 이미 전복은 코로나19로 외식과 회식 수요가 감소하고 대형마트 등 판매점 방문까지 기피하면서 매출이 줄고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상태다. 각 국가가 코로나19로 외국인들에 대한 빗장을 걸어 잠그며 수출물량도 급격히 감소했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여름철 전복 홍수 출하기가 오면 소비위축으로 출하물량 적체가중과 경영악화로 전복 양식어가가 연쇄적 도산 위기를 맞을 거라는 얘기가 전복 양식어가와 유통업체를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전남도 또한 이런 상황을 심각히 인식하고 지난 3월 중순 해양수산부로 ‘코로나19 피해 극복을 위한 수산물 수매비축사업 품목 확대 및 정부 수매’를 건의하기에 이르렀다. 이 건의에서 전남도는 “수산물은 어획 및 양식을 통하여 소비되는 품목이나 수급조절을 위하여 현재 대중성 어획수산물만 정부가 수매·비축하고 있으나 양식수산물 중심으로 출하량 및 소비가 급감함에 따라 양식어가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며 “기존 냉동갈치, 냉동오징어, 냉동조기, 마른오징어, 냉동명태, 냉동고등어, 마른멸치, 천일염 등 8종 수매품목을 양식수산물인 넙치(광어), 우럭, 전복으로 품목을 확대해 달라”고 요구했다. 전남도는 소요예산 금액으로 넙치(광어) 115억, 우럭(조피볼락) 248억원, 전복 486억원 총849억원을 산출해 수매금액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언론을 통해 나온 정부의 대답은 양식 업계의 어려움은 공감하나 현실적으로 양식 수산물을 비축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여러 경로를 통해 광어와 우럭 등 주요 양식 어종도 정부가 비축해 달라는 요구가 끊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비축은 향후 판매를 해야하는데 횟감을 향후 냉동상태로 팔 수 밖에 없어 사실상 비축이 어렵다"고 밝혔다.
이렇게 해수부가 양식 어종의 비축에 난색을 표하는 이유는 우선 수산물 비축제도의 취지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수산물 비축은 대상어종의 생산이 크게 늘어 가격이 낮아졌을 때 정부가 구매해 놨다가 향후 가격이 오를 때 방출하는 제도다. 물가안정이 주요 목적인 셈이다. 하지만 양식은 연·근해 조업과 달리 출하시기 조정 등 계획 생산이 가능하다. 횟감용 양식 수산물을 비축하는 것은 투자비를 거의 건지지 못하는 상황이 되는 것을 가장 우려해 결국 또 하나의 보조금이 돼 비축 제도의 취지와 어긋난다는 것이다.

대신 해수부는 수산물 소비 촉진 행사 및 온라인 또는 드라이브 스루(승차 전달) 등의 비대면 판매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수산업계 종합지원 대책으로 해수부는 수산식품 수출 역량제고, 수산물 소비 및 거래 활성화, 어업인 경영 안정화 지원, 수산분야 경제 활력 유지를 위한 예산 조기집행, 공익형 직불제 도입, SOC·투자 활성화 등을 내놓고 있다. 
문제는 해수부의 코로나19 극복 대책이 완도 수산경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복의 여름 홍수 출하기에도 유효할 것이냐는 것이다. “아니요”라는 대답이 완도 수산업 관계자들 입에서 이구동성으로 나온다.

전복 양식어민들은 여름철 고수온이 오기 전과 산란기 6월 전후로 전복의 폐사 전에 물량을 출하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위축과 수출부진은 올해 초 출하될 물량이 그대로 바다가두리 양식장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적체된 기존물량과 여름철 출하될 물량이 겹쳐지면 그야말로 감당하기 어려운 수산물 파동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올해 수온은 평년보다 1.5도 정도 높다는게 전복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경영악화로 인한 전복양식어가들의 도산은 연쇄적으로 전복치패산업과 전복기자재산업으로 이어지는 결과로 초래하기 때문에 코로나19 위기상황에서 정부의 양식수산물 수매비축사업 품목 확대와 수매가 닥쳐올 위기에 대한 보험이며, 유일한 해법이 될 것이란게 지역 수산업 종사자와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다. 물론 지역 차원에서 정부를 설득할 정치권의 힘도 모으고 장기적 해결책 모색을 위한 운동도 전개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 이 난국을 극복해 나가는 전제조건일 것이다.

저작권자 © 완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