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전략 준비·국가주도·단체장 3박자 딱딱

[해양치유산업 특집]연구협력 선도 지자체로 선정되기까지

  • 박주성 기자 pressmania@naver.com
  • 입력 2017.12.01 10:34
  • 수정 2017.12.01 10:57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양치유산업 연구협력 선도 지자체 선정을 위해 고군분투한 완도군청 해양헬스케어 담당 임대용(중앙), 윤세환(왼쪽), 이초희(오른쪽) 3명의 팀원들.


해양치유(헬스케어)산업 육성은 2014년 3월 발표된 제2차 해양관광기본계획에 포함된 내용이다. 전세계 관광산업이 웰니스와 휴식을 트렌드로 변화하자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가 해양레저·관광산업 육성을 정책적 목표로 한 사업이다. 해양치유산업은 ‘휴식과 회복이 있는 행복한 바다관광’이라는 전략과제의 세부추진과제 중 하나였다.

완도군은 신우철 군수가 “해양치유산업 추진을 위해서는 청정한 기후환경과 해양치유자원 확보가 필수적인 요소인데 완도가 최적지라 판단”하고 처음 이 사업을 제안했다고 한다. 본격적인 준비는 해수부의 사업추진 일정에 따라 2016년 초부터 전략적으로 시작됐다.

그 다음은 2016년 3월 해양치유산업 육성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 발주였다. 해양치유산업과 관련해 2014년·2015년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충남발전연구원 주관 심포지엄과 워크숍에서 ‘해양헬스케어 산업육성과 사업화 모델’을 주제 발표한 ‘웰캄 I&D’라는 회사를 소개받고 용역을 의뢰했다. 나중이지만 결과적으로 중량감 있는 용역업체를 잘 선정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올해초 1월엔 해양수산정책과에 해양헬스케어 전담을 신설되고 연구협력 선도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 선정을 1차 목표로 업무를 추진해 나갔다. 해양헬스케어 임대용 담당은 “해양헬스케어 용어 자체가 생소했다. 인터넷을 검색해 어떤 산업이란 걸 알 정도였다”고 처음 시작할 때를 회고했다.

더불어 해양치유산업이 국가 주도형 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청와대, 국회, 국정기획자문위원회, 해양수산 부 등 관계기관을 방문해 적극적인 건의와 설득작업을 진행했다. 해양치유산업이 새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에 반영된 것도 완도군의 역할이 컸다고 한다.

‘2017완도국제해조류박람회’는 해양치유산업 선도 지자체 선정을 위한 좋은 기회의 자리였다. 국·내외 전문가를 초청해 ‘해양치유산업 활성화 국제 세미나’를 개최해 완도가 해양치유산업의 최적지라는 것을 알렸다. 이때 국제 세미나에 초청된 가장 성공적인 해양치유산업 모델로 평가받는 독일 노르더나이시 인사들과 인연을 맺고 6월엔 직접 독일 노르더나이시를 방문해 업무협약을 맺었다. 7월 조직개편 땐 해양헬스케어 담당부서를 신설했다. 마지막으로 8월경 19개 해양치유 전문기관과 지원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연구협력 선도 지자체 선정 공모 준비는 끝났다. 공모 신청서 제출 전까지 해양헬스케어 담당부서는 전체 구성원들이 3개월 동안 새벽 근무를 하는 등 일정에 맞춰 피가 마르는 준비를 해야 했다.

전남은 8월말 완도군을 비롯한 신안군·무안군과 함께 총3곳이 공모신청서를 제출했다. 2군데만 해수부로 올려야 되는 상황에서 신안군과 완도군이 해수부로 최종 공모 신청자로 선정됐다. 그런데 신안군이 함께 올라가자 정치적 파워 때문에 밀리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 기우였다. 오히려 전남도 주무관은 완도가 준비를 너무 잘했다는 평가를 언급해 기대를 한껏 부풀리기도 했다. 또 나중 이야기지만 전남도는 신안군과 완도군 2군데 모두 선도 지자체로 선정될 수 있다는 바람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공모신청이 마감되자 곧 해수부에서 공모 신청 지자체의 브리핑과 현지 실사가 9월 진행됐다. 11개 지자체가 신청했는데 유일하게 완도만 단체장(군수)이 직접 브리핑을 진행했는데 결과적으로 해양치유산업 육성 의지를 표명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는 후문이다.

10월 해수부 발표는 완도가 1위로 해양치유산업 연구협력 지자체에 선정됐다는 소식이었다.

 

저작권자 © 완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